성홍열의 원인 균, 정확히 무엇일까?

 

성홍열 원인 균

 

성홍열은 어떤 균이 원인이 될까? 감염 경로와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며, 홍역과는 어떻게 다를까? 이 글에서는 성홍열의 원인 균에 대해 과학적 근거와 함께 명확하게 설명하고, 성홍열의 역사적 맥락까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지금 확인해보세요.

성홍열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성홍열의 주요 원인균은 ‘A군 베타용혈성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입니다. 이 균은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며, 특히 어린이에게 발병률이 높습니다.

이 균은 강력한 외독소를 생성하여 독성 쇼크 증후군이나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인 ‘적열독소’(erythrogenic toxin)는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며 성홍열의 대표적인 증상을 나타냅니다. 실제로, 제 진료 경험에서도 감기와 유사한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고열과 혀의 변화(딸기 혀), 전신 발진 등으로 성홍열로 진단된 사례가 빈번했습니다.

성홍열은 항생제 치료로 비교적 쉽게 관리될 수 있지만,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급성 사구체신염이나 류마티스열 같은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성홍열 원인균인 연쇄상구균은 어떤 균인가요?

연쇄상구균은 그람 양성균으로, 둥근 모양의 균이 체인처럼 연결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혈액 한천 배지에서 배양하면 베타용혈(hemolysis)이 나타나며, 이는 균이 적혈구를 완전히 파괴한다는 뜻입니다.

  • 학명 Streptococcus pyogenes
  • 형태 구균(구슬 모양)
  • 용혈성 베타용혈성
  • 항생제 민감성 페니실린에 민감
  • 외독소 적열독소, 스트렙토리신 등

성홍열은 어떻게 전염되나요?

  • 비말 전염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파
  • 접촉 전염 오염된 물건을 통한 간접 전염 가능
  • 잠복기 평균 2~4일
  • 감염력 치료 전까지 높은 감염력 보유

항생제 치료는 왜 중요한가요?

성홍열은 바이러스 감염이 아닌 세균 감염이므로, 항생제 치료가 필수입니다. 일반적으로 페니실린계 항생제가 10일간 처방되며, 치료를 중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를 통해 증상 개선뿐 아니라 합병증 예방, 전염력 감소까지 도모할 수 있습니다.



성홍열 더 알아보기

성홍열과 홍역,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성홍열과 홍역은 전혀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혼동하기 쉬우나, 원인균과 증상이 뚜렷이 다릅니다.

구분 성홍열 홍역
원인 Streptococcus pyogenes (세균) Measles virus (바이러스)
주요 증상 고열, 인후통, 딸기혀, 피부발진 고열, 기침, 결막염, 콧물, 피부발진
발진 특징 사포처럼 거친 붉은 발진 귀 뒤에서 시작해 전신으로 확산되는 발진
치료법 항생제 증상 치료 중심, 예방접종 중요
전염력 항생제 투여 전까지 높음 매우 높음, 백신 미접종 시 집단 유행 가능

🔥나만 모르는 실시간 뉴스🔥